약사는 세상의 극히 일부분을 차지합니다. 전체 숫자가 아주 적은거는 아니지만,
웬만한 姓氏 하나 정도는 되지요.
제 본래 지론은 약사 의사 등 전문직의 정치 참여를 마뜩치않게 본다는 점입니다.
의약사 뿐 아니라 가수, 배우,작가,교수,사업가 등의 정치 참여도 그리 좋은면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극히 개인적 주관이고 취향일수도 있겠으나
그렇게 생각하는 제일 첫째 이유는 한국사회가 유독 정치의 가치를 상당히 높게
평가하고 실제 정치의 영향력이 너무나 크게 사회를 좌지우지 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정치가 삶의 제일 목표로 설정되는 듯한 현상이 이제껏 우리사회를 은연중
지배해 온 건 아닌지 의문이 든다는 점이지요. 흔히 정치-경제-사회-문화- 이렇게
나열식으로 사회의 구분을 합니다.
맨앞에 정치가 나오잖읍니까?
이것이 문화-경제-사회-정치 이렇게 역순으로 배열 되어야 선진사회라고 개인적으론
생각합니다. 암튼 사회 곳곳에 정치적 매카니즘이 만연해서는 성숙된 선진 사회가 되긴 어렵다
이런 개인적인 생각을 갖고 있고 따라서 정치적 입지나 가치에 고개숙이고 마는 세상 조류를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는 1인이란 사실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물론 정치도 세상의 큰 축으로 중요합니다. 그게 없으면 누가 세상의 갈등, 전쟁,약육강식의 세계에서
나라를 보전하고 국가 발전의 우선 순위를 정하고 치안과 질서를 세워 평화를 유지할 수 있겠읍니까?
이런 규범과 룰을 유지 발전시키는데 정치적 역량이 없으면 한 순간에 나라가 무너질지도 모릅니다.
이렇게 대단히 중요한것이 정치이긴 하지만 정치 제일주의 가치가 너무 높 게 되면 이 또한 건전한
삶이 꽃피기는 어렵다는게 문제입니다.
해서, 근래 들어 약사의 정치참여가 매우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고 우리의 영역을 우리가 아니면 누가 지키랴?
의 기치아래 수많은 약사들이 정치 일선에 나서고 있는 실정입니다. 내년 지방 선거를 앞두고 이미 그에
대응하려는 움직임이 약사회 내부에서 진행중인 걸로 압니다. 허나 한국사회의 전래된 못된 정치 풍토 ,
거짓말, 협잡,속임수,낮 뻔뻔함, 신뢰의 상실 등 많은 부정적 요소들을 별 생각없이 그대로 따르면서
정치에 참여해 보겠다고 나서는 약사가 의외로 많다는것은 여전히 적극 호응을 막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읍니다.
다시말하자면 정치적 마인드라는게 그런 쪽에 조금더 익 숙한 사람들의 전유물 처럼 여겨지는 현실은 매우
안타까운 일면이기도 합니다. 이런 제 판단이 혹시 잘못된 오류일수도 있읍니다. 사람은 누구나 다 불완전의
요소가 있으니 말입니다. 그
런데 오늘 얘기하려는 핵심은 그런 시의원,도의원,시장, 국회의원 등 프로 정치가 아닙니다. 최근 제가 살고
있는 아파트의 동대표 선거를 보면서 느낀점이 많읍니다. 내가 거주하는 아파트의 동대표~ 이거참 별거 아닌듯
여겨집니다. 아파트에 그냥 살면되지 무슨 대표는? 더구나 난 약사인데,시의원 도의원 이라면 모를까..
그런데 그게 아닙니다. 아파트의 동대표 같은 자리를 넘보며 끊임없이 개인의 이권을 챙기는 일단의 무리들이
이 나라에는 너무나 많다는 겁니다. 아파트 재개발 판은 이미 아수라장이라는걸 다들 아시지요.
헌데 멀쩡한 동대표, 동대표 회장도 거의 비슷한 지경인곳이 많읍니다. 그런데 약사가 뭘? 어떻게?
만일 여러분의 약국이 거주하고있는 아파트와 아주 근접해 있거나 아니면 같은 동네라면 이제 동대표
같은걸 맡아 보시지요. 적어도 약사 수준이면 그 문제의 부패한 동대표 들과 같은 일처리는 안할거라
확신합니다. 우선 내 직업이 있으니 쓸데없는 소소한 금전적 유혹에 넘어갈 공산이 적읍니다.
동대표? 그거 어떻게해요? 우린 배운게 없는데~ 이러실 분도 계시겠지만, 그거 별거 아닙니다.
전기,수도, 관리실 인건비,오물처리,보수공사 아파트 페인트, 방수 문제, 소방,전기, 이 정도만 좀 하면
문제없읍니다. 약사가 사람의 질병을 고치는 일을 하지만 세상의 병도 고치는데 가능하면 나서야 한다는 겁니다.
그것이 눈에 보이는 의원, 시장, 이런게 아니라 우선 내가 살고있는 동네부터 참여하여 세상의 빛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동대표 정도가 제일 적당 하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거기서 약사의 신뢰를 쌓아갈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이 선의의 정치참여 약사를 장차 키워내는 원동력이 될수도 있지 않겠읍니까?
'포토 에세이, 나의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번호 고르기 (0) | 2013.08.08 |
---|---|
이 여름에 매미를 생각하며^ (0) | 2013.08.04 |
15년 이상 아파트 리모델링 발표를 보면서 (2013.6.7 작성) (0) | 2013.07.02 |
원전 불량 부품을 보며 한 생각 (2013.6.5 작성) (0) | 2013.07.02 |
쑥과 냉이 (0) | 2013.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