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 주저리 열리고

먼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

~


유월이 끝나고 칠월이 왔다
필 만한 꽃도 나올 싹도 다 나오고 나니
이젠 열매가 익어갈 차례다

 

수박도 오이도 참외도 딸기도 뽕도 살구도 자두도
그리고 복숭아도 포도도 먼산의 머루도 모두 모두 익어가는
시절이다.

 

상치는 이제 끝이다. 두텁고 싱싱한 잎새로 밥상을
풍성히 차려 주던 상치는 어느덧 긴 대궁을 남기고 그 끝에는
노란 꽃을 느즈막히 피우며 이제 자신의 시절은 끝났음을
알린다


봄의 서막에 줄줄이 피던 꽃들이 지고 나면 들판에는 비로써
작물들의 꽃 잔치가 벌어진다. 콩,감자,동부,호박,오이,가지
땅콩,고구마,참외는 물론 씨를 맺는 모든 것들은 일제히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6월 말의 도라지

 

사람들이 어떤 꽃에 관심과 애정을 주든 그건 각자의

자유일 것이다. 아니 자유라기보다 그냥 취향이나 관심의 여부

정도라 볼 수도 있을것이다. 시골 농촌에서 밭 갈고 논 관리하며

농사를 짓지 않는 이상 농작물에 관심을 갖기는 어려울 것이니 말이다

 

그런데 6월 말이 지나 7월로 접어 들면 우리 눈에 보이는 꽃은

사라지고 만다. 어쩌면 사람들은 이쯤에서 꽃에서 멀어지는 건 아닐까?

 

허나 농작믈은 이 시기에 절정을 치닫는다. 꽃이 피고 열매가 맺고

결실을 향해 익어 간다. 단지 사람들의 눈에 잘 띄지 않을뿐~

 

 

고추,수세미,가지,뽕

 

 

그러나 사실을 말하자면 농작물 꽃은 그리 인간의 눈에 확 뜨일 만큼

모양이 예쁜 건 아니다. 아니 그 보다도 그저 꽃이려니 할 정도로만

수수하다. 어찌 보면 곁에 두고 볼 만큼 아름다울 필요가 없는지도

모른다. 농작물 꽃은 그 결과로 말을 하기 때문이다.

 

그 맺는 과실,뿌리, 종자 등이 인간에게 유익할 따름이다.

아니 애초부터 그런 작물이 인간에 의해 채택이 되었고

지금껏 이어져 온게 아닐까?

 

여기서 주목할 것이 있으니 바로 너무 예쁜 꽃은 그 열매가 빈약하다

는 것이다. 충실한 열매를 맺는 꽃은 그리 화려하지 않다는 점이다

 

인간도 이와 비슷하다. 너무 인물이 번듯한 사람은 그 열매가 부실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여기서 열매라 함은 여러가지를 뜻한다. 그가

가진 다방면의 재주는 물론 인성, 품성, 후대를 양산하는 것까지

포함할 수 있을것이다.

 

이것이 7월의 뙤약볕 아래 열매를 익혀가는 농작물을 보며 느끼는 나의

소회이다. 너무 비약이 있지 않아요? 할 수도 있지만 어느 정도는 일치

한다고 나는 믿는다.

 

어성초,토마토, 치커리,메꽃

 

다행히  내가 사는 동네 가까운 곳에는 농작물을 재배하는

커다란 밭이 있다. 도회지 근처에 더러 있는 일이지만, 내가 직접

작물을 재배하지는 않지만 언제고 가서 관찰할 수 있다는게 얼마나

다행한 일인지 모른다. 여기 꽃들도 전부 거기서 찍은 것이다

 

해마다 5월이면 상치를 따기 시작해서 차차 오이며 토마토 고추등을

 직접 채취해 먹을 수 있다. 그외 부추, 가지는 물론 애호박도 또

열무도, 가을이면 김장 배추까지 공급 받을 수 있다. 물론 큰 밭을

관리하느라 노고가 많으신 할머니가 한분 계시긴 하지만!

 

 

 

고추며 오이 토마토 등을 따서 식탁에 올려 놓은 모습이다

거의 매일은 아니지만 5월부터 7월까지는 며칠에 한번은 이런

식탁을 마주하게 된다. 올해도 정말 부지런히 상추를 채취해

먹었지만 6월이 다 가니 상추는 끝나고 말았다

 

정말이지 7월부터는 농촌이 아닌 도회지 사람에게는 조금 따분한

시기가 아닐까 한다. 그 이유는 날씨는 덥지 주변에 눈을 호강시켜줄

아름다운 꽃은 별로지 뭐 이렇다 할 호재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드넓은 대지에는 맹렬한 기세로 농작물이 자라고 열매를 맺느라

분주함을 잊어서는 안 된다. 얼핏 따분하고 무더위로 치닫는 이 시기야

말로 인간에게 필요한 곡식과 과일 그리고 그 모든것들이 익어가는

계절이기 때문이다. 청포도도 그 중의 하나일 뿐이다.

 

 

상치꽃,블루베리,쑥갓,접시꽃

 

 

이것이 7월의 초 하루에 이육사 선생의 청포도 시를 떠올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더구나 올해는 코로나로 인해 더욱 답답하고

암울한 7월이 되고 있으니 말이다.

 

아래 詩가 그 따분함을 좀

달래줄 수 있을까?

 

 

 

내고장 7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돗단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청포를 입고 찾아 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은 함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