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향 수(故香樹)

보조국사 지눌(1158~1210) 스님께서 송광사에 처음 오실 때 짚고 오신 지팡이를 꽂으시며 시를 남겼다.

爾我同生死(이아동생사) 너와 나는 같이 살고 죽으니,

我謝爾亦然(아사이역연) 내가 떠날 때 너도 떠나고,

會看爾靑葉(회간이청엽) 너의 푸른 잎을 다시 보게 되면,

方知我亦然(방지아역연) 나도 그런 줄 알리라.

그 뒤 지팡이에서 잎이 피어 자라다가 보조스님께서 입적하시니 이 향나무도 따라서 말라버리므로

고향수라 하였다. 고향수 이야기는 1751년 이중환의 '택리지'에도 기록되어 있고 1886년 순천부사

이범진이 왕실에 보고하던 지도에도 불생불멸이라는 글자로 표시되어 있다.

 

고향수에 얽힌 여러 이야기 중에서 1960년대 송광사를 찾은 노산 이은상이,

300여편의 시조를 남긴 송광사 주지 인암 스님과 고향수 앞에서 시조 대결을 벌였다는 일화도 빼놓을 수 없다.

 

요즘 같으면 머릿글자로 풀어 가는 삼행시 놀이 비슷한 것이었는데^^*

 

 먼저 노산 이은상이 운을 뗐다.

 

"어디메 계시나요, 언제 오시나요 
말세 창생을 뉘 있어 건지리까  
기다려 애타는 마음 임도 하마 아시리" 

인암 스님이 화답했다.

 

"살아서 푸른 잎도 떨어지는 가을인데  
마른 나무 앞에 산 잎 찾는 이 마음  
아신 듯 모르시오니 못내 야속합니다"

 

이처럼 많은 명사들이 기리는 속에 고향수는 보조스님께서 송광사에 환행하여 오시면 다시

푸른 잎을 피우게 되기를 꿈꾸면서 불가사의하게도 800여 년 동안을 이 모습으로 기다리고 있다.

 

 

 

 

 

보조국사께서 짚던 지팡이라고는 하는데, 

물론 중간에 싹이 나서 한참을 자랐다고는 하나 글쎄~ 

지팡이 치고는 너무 크다. 암튼 이건 설화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 사실 여부가 중요하진 않을지 모르겠으나 나의 생각은 그렇다 )

 

바로 저 위의 우화각이 송광사에서는 독보적인 존재감을 보여주고 있다. 

 

 

 

 

맑은 계곡수가 그대로 흘러 들어오는 이 누각은 난간에 앉아 잠시 쉬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장소였다. 

 

 

어찌 보면 송광사 역시 최소 1박 2일 정도는 시간을 두고 천천히 

둘러봐야 할 그런 곳이었다. 

 

 

보조국사 지눌 스님 이래 16 국사가 배출된 전통과 유서 깊은 송광사지만, 

역시 법정스님을 빼고는 송광사를 얘기할 수 없다. 

 

올라오면서 봐 두었던 불일암은 오후 4시 이후엔 입장을 삼가해 달라는 안내판이 

있었다. 우리는 부랴부랴 시간에 늦지 않게 불일암을 향해 내려가기 시작했다. 

불일암에 오르는 길은 두 갈래 길이 있는데, 산을 돌아가는 무소유의 길이 훨씬 가기가

편하다. 

 

아스팔트로 포장된 또 다른 길은 매우 가파르다.  

 

담벼락과 기와 처마가 기가 막히게 잘 어울리는 청계당 건물. 

 

 

무소유 길에 간간이 피어 있던 산철쭉

 

 

불일암 거의 다 와서 보이는 편백나무 숲!

 

 

이런 몇 개의 글 들을 보면서 오르다 보면 불일암 입구에 다다른다.

 

 

 

 

 

 

 

 

 

불일암은 소박 단순 고요했다. 

멀리 송광사 앞산이 푸르러 오고 하늘에는 흰구름이 둥실 떠 있었다. 

암자 앞 대나무 숲이 바람이 일 때마다 서걱서걱 소리를 낼 뿐 주변 삼림이 그리 

울창하지도 않았다. 

 

앞마당 끝의 후박나무는 굳건히 우람하게 솟아 있었고, 그곳에 법정스님의 사리가 

모셔져 있었다. 

 

나는 방명록에 간단히 아까 올라오며 보았던 글귀와 비슷한 짧은 글 한 줄을 써넣었다. 

 

 

사실은 내가 이전에 상상하던 불일암과는 좀 다른 느낌이었다. 

좀 더 깊은 산, 좀 더 크고 많은 나무, 근처에 많이 흐르는 계곡 물~ 이런 걸 생각했으나

불일암은 아주 단출했다. 

 

그런 나의 상상은 다 무소유와는 상관없는 유소유였을까? 

그간 법정스님은 미국 메사츄세스에 있는 헨리 쏘로우의 오두막 집을 3번이나 방문을

하셨다했다. 

나는 쏘로우가 살던 동네를 한번도 가 본적이 없지않나? 

 

그렇지! 삶이란 어차피 단순한 것인가 보다. 

 

불일암을 보며 든 생각이다. 삶 자체도 단순해야 하지만, 살아가는 주변 환경 역시도

뭐 그리 웅장하고 복잡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불일암은 그렇게 위치해 있었고 따라서

나도 내가 사는 환경을 단순 소박하게 함이 마땅하다 여기고 있다. 

 

이 봄철에 정갈한 쑥국 한 사발 먹는 그런 맛 이라 할까? 

 

집에 돌아오니 그새 벚꽃은 다 져가고 목련도 전성기를 하루 정도 지났다. 

올 봄은 동네 주변의 봄꽃과 남도 여행을 맞바꾼 셈이다. 

 

그러니 억울할 것은 없다. 

 

비록 남도에서는 살짝 늦은 봄을 맞았고~

우리 동네에서는 전성기 봄을 놓치긴 했지만, 

 

 

민속촌 입구 ~ 전성기를 한 2-3일 정도 지난 모습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