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위사 경내를 부랴부랴 둘러보고 나니 벌써 저녁 6시 가까이 되어 버렸다.
얼른 강진 시내를 거쳐 귤동 정약용 선생의 초당으로 가야하는데,,시간이 빠듯했다.
강진을 왼쪽으로 끼고 포구를 보며 가는 길은 평지 시골 논밭길이다. 예전엔 포장이
안되어 진흙탕길 이라는 바로 그 길이다. 백련사라는 간판을 우측으로 보며 조금더 가니
자그마한 동네가 나온다.
여기가 그 '귤동' 이란 데구나!
차 한대만 겨우 들어가는 마을길을 조금더 올라가니 주차장도 아닌 겨우 차 몇대 세울수
있는 공간이 막다른 끝이다. 무슨 매표소 같은거라도 있나 둘러봐도 아무것도 없다. 여기서
걸어서 몇백 미터만 가면 초당이 나온단다.
참고로 정약용 선생은 정재원(丁載遠)의 넷째 아들로 이승훈의 처남이기도 하며
선생님의 모친이 공재 윤두서(尹斗緖, 1668∼1715)의 손녀이고 또한
윤두서는고산 윤선도(尹善道, 1587∼1671)의 증손이 된다.
고산 윤선도라~~ 어쩐지,

 

( 귤동 끝에 자리잡은 아담한 집 한채..벛나무가 고목이 되어 있다)
 
이 집을 끼고 위로 천천히 올라가 본다. 그냥 산 초입은 여느 동네의 야산과
다르지 않다. 몇발자국 올라가자 나무 등걸이 얼키고 설킨 산 길이 나온다.
정호승 시인이 이 길을 오르며 쓴 싯귀가 옆에 걸려 있다.

 

 

앙상하게 뿌리가 드러난 산길을 보는 시인의 마음은 저러했다.
다산이 유배지인 이곳 산길을 오르내리며 얼마나 눈물을 흘렸을지는
어렴풋 짐작은 되는데^
고속도로 자동차로 오는데도 허리가 휠것같이 먼 그 길을
조선시대 말을 타거나 걸어서 왔을 터이니,
당시 유배자에 대한 대접은 어떠했을까?
 
  조금 더 오르자 대나무와 삼나무가 곧고 길게 자라 오른 틈새에 동백이
간간이 섞여 무성한 숲을 이루기 시작한다. 바닷가 근처
야산 치고는 울창한 수목이다.
나무 등걸에 떨어진 동백꽃이 보이시나요?
 
 
 조금더 올라가니 초막 한채가 눈에 띈다.차성각 이라고 하는 서암 이란 곳으로
초당의 주인인 윤단과 그의 아들들 및 제자들이 거처하든 곳이란다.바로 옆에
약간 우측으로 비로서 다산초당이라는 집이 보인다.
초의선사의 다산초당 옛모습 그림 
저 초당위로 산등성이를 넘어가면 백련사가 나온다.

 

 
  원래 다산 유배 시절에는 이보다 작은 초당이었는데 후세에 조금 규모를
키워 지었다고도 한다
아, 이것이 다산초당이구나^^* 
초가  지붕이 아니고 기와 지붕이다.

 

    약천이라 불리우는 약수터가 바로 집옆에 있었다. 옆에 바가지로
시원하게 한모금 마셨다. 아마도 다산도 이 물을
마시며 여러 책을 집필하고 제자들을 가르치셨을게다. 
 
 
   초당 모서리 방 위에 쓰여진 관어제..바로 옆에 자그마한 연못이 있었고
여기에 붕어 잉어등 물고기를 키우던 곳이란다. 이 방 툇마루에 앉아
노니는 고기들을 바라보는 곳이었단 얘기 같다.
 
  
   이 글씨가 다산초당 바로 옆에 지어진 다산동암에 걸려있는 것인데,,
다산보다 24년 밑인 추사 김정희가 나중에 써 보냈다는
얘기가 있는 바로 그 글씨이다.
寶丁山房 !! 
 
 
 같은 건물 옆방에 걸려있는 다산동암..다산이 직접 쓴 글씨로 알려져 있다.
이 글씨에 대해선 일찌기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어
흥미롭게 본 적이 있다. 이곳에 유배당시 2000 여 권의 장서를 가져다
놓고 후학들을 가르쳤다니..숙연한 마음이 든다
 
 

 

 
 원래 다산의 유배시절엔 없던 정자인데,,,이 부근에 올라 멀리 강진 포구를
바라보며 흑산도에 유배를
당해있던 형 정약종을 기리며 상념에 젖던 곳이란다.
이곳을 올라보며 당시의 그 말할수 없는 다산의
회포를 조금이라도 느껴보고자 했다. 저 멀리 바다 건너가
칠량땅이고 그 너머가 마량이란 항구가 있는 곳이다.
그리고 고려청자 도요지가 그곳 가는 길에 있었다.

 

 
강진만으로 난 해안도로 저편에 벛꽃이 화사하게 줄줄이 피어있는게
백련사에서도,다산 초당에서도 보였든 바..어둑해진 도로를 따라 나서 보니,,
인적도 없는 저 멀리 마량 포구 쪽이 감감하게 다가 온다. 차를 길 옆에
세워두고 강진포구의 저녁 적막을 한동안 느껴본다.
 
아! 얼마만인가,,이렇듯 적막함에 물들어 가는 포구를 바라보는 것이^^*
다산 정약용이 다산 동암에서 썻다는 작품 하나를 소개해 올리면서
일단 여기서 글을 맺기로 한다.
------
 
 9월 12일밤, 나는 다산의 동암에 있었다. 우러러 보니 하늘은
적막하고 드넓으며, 조각달이 외롭고 맑았다. 떠 있는 별은 여덟
아홉에 지나지 않고 앞뜰엔 나무 그림자가 하늘하늘 춤을 추고 있었다.
 
옷을 주워 입고 일어나 걸으며 동자로 하여금 퉁소를 불게하니
그 음향이 구름 끝까지 뚫고 나갔다.
 
이때 더러운 세상에서 찌든 창자를 말끔히 씻어 버리니
이것은 인간 세상의 광경이 아니었다.
 
-유홍준 저서에서 인용 -

 

 

 

+ Recent posts